묵상 나눔

  • 홈 >
  • 오늘의 묵상 >
  • 묵상 나눔
묵상 나눔
예레미야 20:10-12 영적 침체의 극복 김점용 2024-09-10
  • 추천 2
  • 댓글 0
  • 조회 101

http://xn--vh3bv6qj4ap0a.com/bbs/bbsView/101/6436803

[성경본문] 예레미야20:10-12절 개역개정

10. 나는 무리의 비방과 사방이 두려워함을 들었나이다 그들이 이르기를 고소하라 우리도 고소하리라 하오며 내 친한 벗도 다 내가 실족하기를 기다리며 그가 혹시 유혹을 받게 되면 우리가 그를 이기어 우리 원수를 갚자 하나이다

11. 그러하오나 여호와는 두려운 용사 같으시며 나와 함께 하시므로 나를 박해하는 자들이 넘어지고 이기지 못할 것이오며 그들은 지혜롭게 행하지 못하므로 큰 치욕을 당하오리니 그 치욕은 길이 잊지 못할 것이니이다

12. 의인을 시험하사 그 폐부와 심장을 보시는 만군의 여호와여 나의 사정을 주께 아뢰었사온즉 주께서 그들에게 보복하심을 나에게 보게 하옵소서

제공: 대한성서공회

예레미야 20:10-12 영적 침체의 극복

 

 

예레미야는 유다 나라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할 때 자신의 절망감, 혼란, 영혼 안에 있는 쓴 뿌리를 그대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 절망감이 심하여 자신의 생일을 저주하는 상황이 돼 버렸습니다. 17절로 18절에 그는 자기 인생을 고생, 슬픔, 수욕이라는 세 단어로 말하고 있습니다. 

 

이걸 가리켜 우울증, 혹은 영적 침체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세상이 그를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유다 백성들은 죄로 말미암아 바벨론의 침략을 받게 되고 폭력을 당하게 될 것이며 결국 유다는 멸망하게 될 것이다.”라는 메시지를 전하니 좋아할 리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왜 하나님께서는 위대한 선지자 예레미야가 이 지경이 된 것을 감추지 않으시고 성경에 기록해 만천하에 읽도록 하셨습니까? 

 

그 교훈은 위대한 신앙적 인물들도 때로 심각한 우울증을 겪었다는 것을 말합니다. 

 

영적 침체를 벗어나는 두 가지 길은 첫째, 자기 마음속에 일어나는 생각을 그냥 품고 있지 않고 하나님께 계속 말씀드리며 기도합니다.

 

둘째, 계속해서 하나님의 말씀을 들어야 합니다. 예레미야에게 내가 너와 함께하여 이기게 하겠다는 말씀은 모든 성도에게 다 주신 말씀입니다.

 

예레미야는 이렇게 하나님께 아뢰었지만, 하나님께서는 예레미야의 환경을 바꿔 준 것도, 그의 소명을 바꿔 준 것도 아닙니다. 

 

단지 하나님은 예레미야와 함께하셔서 오십 년의 예언 사역을 성공적으로 마치도록 도와주셔서 위대한 선지자가 되었습니다.

 

 

* 한 구절 묵상

 

환란, 슬픔, 우울증, 영적 침체와도 아뢸 하나님이 안 계신 사람, 함께 하시는 하나님이 없는 사람은 불쌍하고 가련한 사람입니다. 

 

그러나 우리 성도들은 불쌍하고 가련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의 어려운 문제를 

아뢸 하나님이 계시고 우리를 도와줄 하나님이 계시기 때문입니다. 

 

 

 

* 묵상 노트

 

1. 말씀을 통해 하나님이 나에게 주신 교훈과 감동은 무엇인가요?

 

2. 당신은 주의 일을 하다가 우울감, 영적 침체를 어떻게 극복하십니까?

 

 

* 심정을 통하는 기도 / 말씀을 나의 언어로 바꾸어 기도해 보세요

 

주님 때론 힘들고 억울한 일을 당할 때 사람들에게 들어내지 않게 하시고 주님께 말하고 주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게 하소서, 하나님의 사람으로 하나님의 자녀답게 그 권위를 가지고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게 하소서, 예레미야처럼 유나와 백성을 사랑하는 것 같이 교회와 가정과 이웃을 사랑하게 하소서, 나의 분 냄은 성도를 실족하게 함이요 더 나아가 교회를 사랑하거나 성도를 사랑하지 않는 증거임을 알게 하시고 오직 주의 말씀 앞에 서며 기도로 소금과 빛의 사명을 감당하게 하소서, ​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예레미야 21 :8-9 항복이 사는 길 김점용 2024.09.11 2 103
다음글 예레미야19:1-6 탐심이 우상숭배입니다. 김점용 2024.09.10 2 100